File:Gitelman syndrome.jpg

Wikimedia Commons, 자유로운 미디어 저장소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원본 파일(656 × 650 픽셀, 파일 크기: 74 KB, MIME 종류: image/jpeg)

캡션

설명

이 파일이 나타내는 바에 대한 한 줄 설명을 추가합니다
설명 A model of transport mechanisms in the distal convoluted tubule. Sodium-chloride (NaCl) enters the cell via the apical thiazide-sensitive NCC and leaves the cell through the basolateral Cl- channel (ClC-Kb), and the Na+/K+-ATPase. Indicated also are the recently identified magnesium channel TRPM6 in the apical membrane, and a putative Na/Mg exchanger in the basolateral membrane. These transport mechanisms play a role in familial hypokalemia-hypomagnesemia or Gitelman's syndrome.
날짜 Published: 30 July 2008
출처 Orphanet Journal of Rare Diseases 2008, 3:22. doi:10.1186/1750-1172-3-22
저자 Nine VAM Knoers and Elena N Levtchenko

라이선스

[편집]
w:ko: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이 파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2.0 일반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
이용자는 다음의 권리를 갖습니다:
  • 공유 및 이용 – 저작물의 복제, 배포, 전시, 공연 및 공중송신
  • 재창작 – 저작물의 개작, 수정, 2차적저작물 창작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 저작자표시 – 적절한 저작자 표시를 제공하고, 라이센스에 대한 링크를 제공하고, 변경사항이 있는지를 표시해야 합니다. 당신은 합리적인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지만, 어떤 방식으로든 사용권 허가자가 당신 또는 당신의 사용을 지지하는 방식으로 표시할 수 없습니다.

파일 역사

날짜/시간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시간의 파일을 볼 수 있습니다.

날짜/시간섬네일크기사용자설명
현재2008년 12월 21일 (일) 19:522008년 12월 21일 (일) 19:52 판의 섬네일656 × 650 (74 KB)Stevenfruitsmaak (토론 | 기여){{Information |Description=A model of transport mechanisms in the distal convoluted tubule. Sodium-chloride (NaCl) enters the cell via the apical thiazide-sensitive NCC and leaves the cell through the basolateral Cl- channel (ClC-Kb), and the Na+/K+-ATPas

이 파일을 사용하는 문서가 없습니다.

이 파일을 사용하고 있는 모든 위키의 문서 목록

다음 위키에서 이 파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메타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