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le:RCEP.png

Wikimedia Commons, 자유로운 미디어 저장소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원본 파일(4,206 × 4,202 픽셀, 파일 크기: 616 KB, MIME 종류: image/png)

캡션

설명

이 파일이 나타내는 바에 대한 한 줄 설명을 추가합니다
RCEP
이 그림 파일은 벡터 SVG 형식으로 다시 만들어야 합니다. SVG의 장점에 대해서는 여기(영어)를 참고해 주십시오. 만약 이 그림의 SVG 버전이 이미 존재한다면 이 틀을 {{vector version available|새 파일 이름.svg}}으로 대체해 주십시오.

파일 설명

[편집]
설명
English: The members of the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날짜
출처 자작
저자 Tiger 7253
다른 버전
中文(简体):File:RCEP Chinese Map.png

라이선스

[편집]
나는 아래 작품의 저작권자로서, 이 저작물을 다음과 같은 라이선스로 배포합니다:
w:ko: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동일조건변경허락
이용자는 다음의 권리를 갖습니다:
  • 공유 및 이용 – 저작물의 복제, 배포, 전시, 공연 및 공중송신
  • 재창작 – 저작물의 개작, 수정, 2차적저작물 창작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 저작자표시 – 적절한 저작자 표시를 제공하고, 라이센스에 대한 링크를 제공하고, 변경사항이 있는지를 표시해야 합니다. 당신은 합리적인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지만, 어떤 방식으로든 사용권 허가자가 당신 또는 당신의 사용을 지지하는 방식으로 표시할 수 없습니다.
  • 동일조건변경허락 – 만약 당신이 이 저작물을 리믹스 또는 변형하거나 이 저작물을 기반으로 제작하는 경우, 당신은 당신의 기여물을 원저작물과 동일하거나 호환 가능한 라이선스에 따라 배포하여야 합니다.

파일 역사

날짜/시간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시간의 파일을 볼 수 있습니다.

(최신 | 오래됨) (다음 10개 | ) (10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날짜/시간섬네일크기사용자설명
현재2023년 7월 16일 (일) 14:522023년 7월 16일 (일) 14:52 판의 섬네일4,206 × 4,202 (616 KB)Mike Rohsopht (토론 | 기여)HK and MO are not members
2023년 4월월 2일 (일) 09:052023년 4월월 2일 (일) 09:05 판의 섬네일4,206 × 4,202 (631 KB)Kwamikagami (토론 | 기여)rm. non-countries
2022년 2월월 9일 (수) 06:432022년 2월월 9일 (수) 06:43 판의 섬네일4,206 × 4,202 (634 KB)Lukas Abelshauser (토론 | 기여)Standardized color sheme for all RCEP members since it went in effect on 1 January 2022
2020년 1월월 2일 (목) 21:512020년 1월월 2일 (목) 21:51 판의 섬네일4,206 × 4,202 (648 KB)Tiger7253 (토론 | 기여)Minor corrections - Australian and NZ external territories, HK and Macau in a lighter shade of purple to signify PRC suzerainty
2020년 1월월 1일 (수) 06:102020년 1월월 1일 (수) 06:10 판의 섬네일4,206 × 4,202 (640 KB)Afrogindahood (토론 | 기여)Changed the color of ASEAN Plus Six countries (Australia & New Zealand) from cobalt blue to teal for better contrast
2019년 12월 30일 (월) 09:242019년 12월 30일 (월) 09:24 판의 섬네일4,206 × 4,202 (648 KB)Tiger7253 (토론 | 기여)Reverted to version as of 17:34, 4 November 2019 (UTC) The previous colour scheme was standardised to be varying shades of blue/teal/purple. Please do not change it without a valid reason
2019년 12월 22일 (일) 00:242019년 12월 22일 (일) 00:24 판의 섬네일4,206 × 4,202 (658 KB)Afrogindahood (토론 | 기여)Changed the color of ASEAN Plus Three countries (China, Japan & South Korea) to bright purple and ASEAN Plus Six countries (Australia & New Zealand) to pink
2019년 12월 22일 (일) 00:092019년 12월 22일 (일) 00:09 판의 섬네일4,206 × 4,202 (635 KB)Afrogindahood (토론 | 기여)Addition of India
2019년 11월 4일 (월) 17:342019년 11월 4일 (월) 17:34 판의 섬네일4,206 × 4,202 (648 KB)Tiger7253 (토론 | 기여)Updating the image to reflect India's departure from RCEP.
2019년 11월 4일 (월) 16:572019년 11월 4일 (월) 16:57 판의 섬네일4,206 × 4,202 (646 KB)The Account 1 (토론 | 기여)Reverted to version as of 01:11, 3 April 2019 (UTC) These are the correct borders
(최신 | 오래됨) (다음 10개 | ) (10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다음 문서 2개가 이 파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파일을 사용하고 있는 모든 위키의 문서 목록

다음 위키에서 이 파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메타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