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le:흥사단 원동임시위원부 성립기념1920.jpg

From Wikimedia Commons, the free media repository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Original file(800 × 613 pixels, file size: 237 KB, MIME type: image/jpeg)

Captions

Captions

Add a one-line explanation of what this file represents
Description
한국어: 흥사단원동위원부 설립기념
Date
Source 독립기념관
Author 유옹섭
Permission
(Reusing this file)
Public domain
This file is now in the public domain in the Republic of Korea (South Korea) because its term of copyright has expired there. (details)

According to Articles 39 to 44 of the Copyright Act of the Republic of Korea,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ll copyrighted works enter the public domain 70 years after the death of the creator (there being multiple creators, the creator who dies last) or 70 years after publication when made public in the name of an organization. (30 years for death before 1957, 50 years before July 2013)

This applies to copyrighted works of which authors died before 1 January 1963, or made public in the name of an organization before 1 January 1963.

Furthermore, with the exceptions of photographs reproducing otherwise copyrighted works of art, and photographs inserted into a work of study or art and produced only for the purpose of inclusion within said work, photographs or other works of a similar form to photography either published or produced in negative on or before 31 December 1976 are now in the public domain in the Republic of Korea as their term of copyright has expired there.

There are exceptional cases. Property rights are to belong to the state according to provisions of the Civil Law and other laws upon the death of a copyright owner without heir or, in the case of a legal person or organization, upon its dissolution. The product must also be in the public domain in the United States.


English  日本語  한국어  조선말  македонски  русский  简体中文  繁體中文  +/−

You must also include a United States public domain tag to indicate why this work is in the public domain in the United States. Note that a few countries have copyright terms longer than 70 years: Mexico has 100 years, Jamaica has 95 years, Colombia has 80 years, and Guatemala and Samoa have 75 years. This image may not be in the public domain in these countries, which moreover do not implement the rule of the shorter term. Honduras has a general copyright term of 75 years, but it does implement the rule of the shorter term. Copyright may extend on works created by French who died for France in World War II (more information), Russians who served in the Eastern Front of World War II (known as the Great Patriotic War in Russia) and posthumously rehabilitated victims of Soviet repressions (more information).

본인 선친이 이 사진에 포함되어 독립기념관으로 부터 제공 받았고 본인 보유 사진 등 자료 800여점을 독립기념관에 기증한바 있고 이 사진은 ko:퍼온 사진이 않임 그러나 사진 규격을 더 줄이고 여러사람이 보는것은 좋으나 퍼갈수 없는 조치로 공개함도 좋겠음. 이 사진은 애국지사 유상규의 문서에 올릴 예정으로 올려놓은 것임.

사진 추가설명 : 선진 유상규 독립지사가 1919년 부터 임시정부에 있었고 흥사단에 가입 애국지사로서 정부훈격을 받았음(1990)

그러나 삭제여부는 위키백과의 결정에 따르겠읍니다

사진은 독립기념관에서 본인 선친에 관한 자료(유상규 포함된 1920년도 사진)로서 보내준것입니다.(2012.2.4.) 따라서 소장자는 독립기념관입니다. 독립기념관 자료의 활용은 독립기념관 규정에 따를것으로 본인은 그 규정을 찾지 못하였읍니다. 다만 국가 소유의 자료이며 저작권 50년 또는 데이터베이스 자료로 간주시 5년은 경과한 자료로서 그 사용에는 제한이 있을지 알지 못합니다. 본인이 퍼왔다고 하는 표현은 과한 표현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사진은 애국지사 유상규의 위키사전에 넣기를 예정하여 올린것이나 부적절하다면 삭제에 동의 합니다. 제 소견으로서는 규격을 줄여, 썸네일로만 할용될 정도로, 올려서 인물 식별이 불가능하게하고 분위기나 알정도로하고 존치시켜도 되지않을까 합니다. --유옹섭 (토론) 2013년 1월 22일 (화) 07:39 (KST)

이미 본인이 이의를 설명 한바 있읍니다. 이유를 달지 않았다는 뜻을 모르겠읍니다 이사진은 본인이 분명 독립기념관으로부터 사용할것을 허락받아 이미 유상규 전기"태허 우상규, 2011,더 북스"에 삽입 사용하였으며 이사진은 1920년 촬영되 각 사진에 포함된 각 개인(유상규 포함)에 배포된 사진이며 사용되기시작한지 90년이 경과한 사진이며 아무나 사용하기에도 아무런 제한 없는 즉 저작권상으로도 문제가 될수 없다고 생각됩니다. 참고로 본인은 사진에 나오는 "유상규" 독립지사의 아들임을 밝힙니다.

이상으로 이의신청의 이유를 재차 밝힙니다.--유옹섭 (토론) 2013년 2월 2일 (토) 07:59 (KST)

File history

Click on a date/time to view the file as it appeared at that time.

Date/TimeThumbnailDimensionsUserComment
current01:40, 17 January 2013Thumbnail for version as of 01:40, 17 January 2013800 × 613 (237 KB)유옹섭 (talk | contribs){{파일 정보 |설명=흥사단원동위원부 설립기념 |출처=독립기념관 |날짜=1920 |만든이=유옹섭 |저작권=독립기념관 |기타= }}

There are no pages that use this file.

File usage on other wikis

The following other wikis use this file:

Metadata